안녕하세요. AI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솔루션, 세이플리입니다.
기온이 오르고 건조한 봄철이 되면서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요.
오늘은 봄철 화재예방 건설현장 자율점검 항목 및 임시 소방시설 목록을 알아보겠습니다. 🔥
봄철 화재 예방 핵심사항은 가연물과 화기, 비상조치 등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항목을 확인하셔야 하는데요.
봄철 화재 예방 핵심사항은 가연물과 화기, 비상조치 등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점검 항목 | 점검 결과 |
---|---|
▴화재위험작업·장소 유무 | ▴ 용접·용단 등 불꽃 발생 작업 |
▴ 도장작업 등 인화성물질 취급·사용 작업 | |
▴ 단열재 등 가연성 물질 저장·설치 장소 | |
▴ 흡연, 화기 사용장소 | |
▴ 인화성 가스 발생 우려가 있는 지하작업장 | |
▴인화성 액체·가스 등 취급 | ▴ 환기 불충분 시 전기기계・기구 작동 금지 |
▴ 환기장치, 가스 검지 및 경보 장치 설치 | |
▴ 인화성 물질 별도 보관・저장 | |
▴가스 용접 | ▴ 가스 등의 호스, 밸브 등 점검 |
▴ 가스용기는 화기사용, 위험물 취급장소 인근에 저장 및 | |
방치 금지하고 넘어지지않도록 | |
▴화기 관리 | ▴ 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의 사용금지 |
▴ 비산방지포, 방화포 등 불꽃·불티 비산방지조치 | |
▴ 가연성물질에 대한 방호조치, 소화기구 비치 | |
▴ 용접・용단 작업 시 화재감시자 배치, 대피용 장비 지급 | |
▴지하작업장 화재 관리 | ▴ 가스농도 측정, 유사시 근로자 대피, 기계・기구 사용중지 조치 |
▴비상조치 | ▴ 화재·폭발 대비 비상조치계획 |
▴ 정기적 대피훈련 | |
▴ 관계수급인 등의 작업시기·내용 등의 조정 | |
▴ 비상구·대피경로 확보 및 사용 가능 상태 유지 | |
(물건 적재 금지 등) | |
▴안전보건관리체제 | ▴ 주말, 휴일 등 관리자 배치 |
▴ 화재위험작업에 대한 특별교육 |
그중에서도 특히 가연물/화기/비상조치 3가지가 특히 중요한 화재 대비 핵심 예방 사항인데요.
건설현장 내 가연물을 파악하고 가스용기나 위험물질은 안전한 장소에 따로 보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