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I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솔루션, 세이플리입니다.

오늘은 산업재해에 대해 경영책임자, 현장관리자 등 무죄가 성립된 판례들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아래 알려드리는 사례에는 중대재해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국에는 산업현장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산업안전보건법,

경영책임자를 처벌함으로써 안전보건을 확보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vs 산업안전보건법

구분 중대재해처벌법 산업안전보건법
의무내용 안전보건 확보의무 사업주의 안전조치, 보건 조치
개인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의 종사자에 대한 안전ㆍ보건 확보 의무 사업장의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안전조치, 보건 조치
1)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행 1) 위험기계·물질이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안전 조치
2) 안전·보건 관계 법령상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 2) 병원체 등의 위험물질 사용, 신체에 부담 주는 등 위험작업 사용에 대한 보건조치
처벌수준 자연인 - 사망: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 벌금 자연인 - 사망: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 벌금
부상·질병: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 벌금 안전·보건조치위반: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법인 - 사망: 50억 원 이하 벌금 법인 - 사망: 10억 원 이하 벌금
부상·질병: 10억 원 이하 벌금 안전·보건조치위반: 5천만 원 이하 벌금

이러한 법에 따라 법인과 책임자가 처벌받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모두 '유죄' 선고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책임자의 무죄 판례 사례 몇 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무죄 판례 사례

1. 여수산단 폭발 사고 (1심 금고형 → 2심 무죄 판결)

2021년 전남 여수산단에서 폭발사고로 인해 근로자 5명이 상해를 입었습니다. 원청 관리감독자는 하도급업체 작업자들에게 보호구를 착용시키지 않고 안전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작업시킨 혐의로 1심에서 금고 4개월과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그러나 2심에서는 원심이 깨졌습니다. 시공사 소속이었던 피고인은 이미 종료된 도급계약의 하자보수 과정에서 하도급업체 근로자에게 구체적인 지시와 감독을 할 수 없었을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에 따라 2심에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